2019.8.7
|
복날회식
|
|
전남대학교 치과교정학교실 수련동문회(이하 전정회)초청으로 쌍촌동“섬진강”에서 복달임 행사가 열렸다. 복달임 행사는 매년 여름 바쁜 일상으로 자주 만나지 못했던 선배님들과 교수님 및 의국원들이 한자리에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전정회가 마련한 원기를 보충하는 음식으로 사기를 돋우는 행사이다. 이날 회식으로 선ㆍ후배 동문간의 정을 더욱 돈독히 했고 올해 여름을 견딜 수 있는 기운을 충전했다.
|
2019.8.26
|
2018년 후기 학위수여식 – 문다날, 임승원, 김현민
|
|
2018학년도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후기 학위수여식에서 문다날, 임승원, 김현민 선생이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문다날(지도교수 임회정) 안면비대칭자의 연조직 두께에 관한 3차원 콘빔CT 연구
임승원(지도교수 조진형) Construction Reliability of Composite Tooth Model Composed of Intraoral-Scanned Crown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Scanned Root
김현민(지도교수 이경민) Correlation between Postsurgical Stability and Airway Changes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in Class III Patients
|
2019.9.02
|
대한치과교정학회 광주전남지부 제 2차 학술집담회
|
|
대한치과교정학회 광주전남지부 제2차 학술집담회가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평강홀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이날 연자로는 가지런e류 치과교정과의 류세홍 원장님과 본 교실 출신 용봉 선이고운 치과교정과의 문다날 동문이 초청되어Esthetics&Function'을 주제로 강연을 선보였다.
류세홍 원장님은“교정치료를 위한 심미적 접근-설측교정”을, 문다날 원장님은 “Evolution of occlusion in orthodontics”을 주제로 여러 환자의 증례와 함께 교정치료 시 간과할 수 있는 많은 부분들을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 많은 참석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냈다.
|
2019.9.06
|
2019년 2학기 대학원 개강 특강
|
|
2019년 2학기 대학원 개강 특강이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8층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본 교실의 교수님 이하 의국원 및 대학원생들 그리고 원광대학교와 조선대학교 의국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원광대학교 치과교정학교실의 강경화 교수님이 연자로 초청되었다. 강경화 교수님은“Clinical Application of Maxillary Skeletal Expander”라는 주제로 악궁의 횡적 부조화를 평가하는 방법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치료 방법을 여러 증례와 함께 소개하였다. 뒤이어, 상악궁 확장 장치와 관련하여 참석자들의 뜨거운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
2019.9.07
|
2019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심포지움
|
|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심포지움이 치의학 연구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로 2019년 9월 6일, 7일 양일간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5층 대강당에서 개최되었다. 본 심포지움은 총 4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고, 국내의 여러 대학교 교수님들께서 연좌로 참석하여 기초 치의학에서부터 디지털 치의학에 이르는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었다. 이번 심포지움의 두 번 째 날인 7일에는 본 교실의 임승원 교수가 “Application of 3D digital imaging in orthodontic dentistry”라는 주제로 강연을 선보였다.
|
2019.10.2-4
|
대한치과교정학회 제57차 정기총회 및 제52회 국제학술대회 (창립 60주년 기념)
|
|
제52회 대한치과교정학회 학술대회가 10월 2일부터 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특히 이번 학회 심포지움에서 본 교실의
이경민교수가 “Monitoring of 3D tooth movement without CBCT scan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 Application of individual composite tooth model”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선보여 많은 청중들의 관심을 이끌어냈다. 구강스캔치관영상과 콘빔CT치근영상을 정합하여 만든 합성치아모델 개발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임상에 활용한 증례를 소개하였다. 합성치아모델은 교실에서 몇 년 전부터 해오던 레이저스캔모형영상을 활용한 연구의 일환으로 이경민 교수는 그동안 해왔던 구강스캐너 관련연구를 기반으로 구강스캔치관영상과 콘빔CT치근영상을 정합하여 만든 합성치아모델 연구를 보다 심도있게 해석하고 앞으로 임상교정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또한 현재 진행하고 있는 연구방향과 관련하여 합성치아모델에 인공지능기술을 적용한 예비연구결과를 소개하면서 강의를 마무리하였다. 심포지엄 후에는 바로 뒤이어 4명의 연자들이 함께하는 panel discussion시간이 있었는데, 교수님의 강의와 함께 교실에서 하고 있는 3차원 영상연구와 관련한 심도있는 질문들과 열띤 토론이 이어져 참석자들의 많은 관심과 호응을 엿볼수 있었다. 또한 본 교실 출신 여수 21세기 치과의원의 이계형 동문이“Occlusal treatment in the digital era”라는 주제로 교정치료 시 쉽게 간과하는 중심위와 교합위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안궁이전을 디지털화하여 이를 임상에 적용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본 교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총 7편의 포스터를 발표하였다.
|
2019.11.11
|
대한치과교정학회 광주전남지부 정기총회 및 초청강연
|
|
2019년제7차 Technical meeting이 교정과 세미나실에서 교수님 이하 의국원 및 대학원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이번 technical 대한치과교정학회 광주전남지부 정기총회 및 초청강연이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5층 평강홀에서 개최되었다. 이날 연자로는 김태우 교수님(서울대학교 치과교정과)이 초청되어 “Strategic approach to treat the open bite efficiently and to retain the stable result”라는 주제로 open bite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접근법을 설명하고 실제로 이를 적용한 임상 증례들을 소개하였다. 김태우 교수님은 특히 open bite 치료 시 혀의 위치와 운동이 매우 중요함을 강조하였고, 강연에서 소개한 여러 임상증례들이 고정식 장치 제거 후에도 치료 효과가 잘 유지되어 참석한 임상의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
2019.11.15
|
제53차 대학원 논문 연구계획 발표회
|
|
제53차 대학원 논문 연구계획 발표회가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6층 2,3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본 교실의 교수님을 비롯하여 대학원생 및 의국원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본 발표회에서는 총 5개의 석·박사 학위논문 중간 및 결과 발표가 있었으며, 참석자들의 많은 질문과 조언이 이어져 향후 논문연구 진행에 큰 도움을 주었다.
학위논문연구 결과 발표
최인선(박6)
Rebonding of orthodontic brackets on zirconia
Hussein Aljawad(박5)
Integration of 3D facial images to craniofacial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Zheng Yuchen(석4)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amination of enamel crack in the Korean population: A cross-sectional study
학위논문연구 중간 발표
박미리내(박4)
Accuracy of virtual setup using intraoral scans and CBCT scans for simulation of root positioning
정진안(박4)
자가치아이식시 공여치아의 Emdogain처리가 치주조직 재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2019.11.19
|
Technical meeting (AIOBIO)
|
|
2019년 제7차 Technical meeting이 교정과 세미나실에서 교수님 이하 의국원 및 대학원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이번 technical meeting에서는 정량광형광기로 유명한 ㈜아이오바이오의 큐레이(Qray) 진단기기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큐레이는 푸른 가시광선(450nm)과 특수필터를 이용하여 형광이미지를 촬영하는 플라그 형광검사 시스템으로, 치아 우식, 치태 침착 및 tooth crack을 찾아내는데 사용된다. 큐레이 진단기기는 치아에 부착되어 있는 치태의 세균활성도를 정량화한 수치로 표시하여 치과의사가 진단할 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치과의사는 이 기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환자의 잇솔질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교정환자의 구강위생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