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8.26
|
4D 세미나 “얼굴인지와 식별”
|
|
얼굴인지와 식별에 관한 4D 세미나가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6층 세미나실에서 있었다. 황현식 교수님을 비롯한 모든 의국원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설명회에서 서울대학교 법의학연구소의 이원준 박사는 얼굴의 특성, 얼굴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및 얼굴식별의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특히 공통적 요소를 가졌지만 다른 형태로 분화한 얼굴의 특이성을 설명하며, 얼굴인지에는 빛, 조명, 피부질감 등 여러 요소가 영향을 미치며, 시대 및 인종에 따라 얼굴 식별에 차이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번 설명회가 얼굴인식에 관한 앞으로의 연구에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
2014.9.1
|
대한치과교정학회 광주전남지부 2차 학술집담회
|
|
대한치과교정학회 광주전남지부 2차 학술집담회가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5층 평강홀에서 개최되었다. 이날 집담회에서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황현식 교수님은 “새로운 교정장치 Linugal MTA”라는 주제로 새로운 MTA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증례를 바탕으로 MTA의 유용성을 소개하였다. 강연 후에는 열띤 질의응답과 토의가 이어졌다.
|
2014.9.5
|
POP conference
|
|
2014년도 2학기 첫번째 치주-교정-보철 연합 세미나가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5층 평강홀에서 있었다. 이날 세미나에서 보철과 R2 신은정 선생은 “교합고경 감소와 상악 전치부 병적 치아이동을 보이는 환자의 협진치료”라는 주제로 발표하였고, 치주과 R1 이중혁 선생은 “전치부 병적치아이동과 구치부 치아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의 협진 진료”라는 주제로 치주-교정-보철 협진 증례를 발표하였으며 참석한 교수님들과 전공의들의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
2014.9.5
|
2014년도 2학기 대학원 개강 특강 및 회식
|
|
2014년 2학기 대학원 개강 특강을 황현식, 이경민 교수님 이하 전 의국원과 대학원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내이처럼치과 옥용주 원장님을 연자로 모시고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6층 세미나실에서 가졌다. 이날 강연은 “행복한 사람, 행복한 인생, 행복한 치과경영”을 주제로 환자 상담시 환자의 DISC 유형에 따른 적절한 상담 방법에 대해 강연하였다. 개강특강 후 매곡동 한정식 전문점 넝쿨채에서 가진 회식에서는 논문을 준비하는 석사, 박사 선생님들의 많은 토의가 늦은 시간까지 이어졌다.
|
2014.9.16
|
Trios 설명회
|
|
3D shape의 Intra-oral Scanner인 TRIOS의 설명회가 교정과 세미나실에서 있었다. 황현식 교수님을 비롯한 모든 의국원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설명회에서 DIO의 김명호 팀장은 TRIOS의 장점 및 특징을 설명하고, 사용방법을 직접 시연하였다. 3Shape의 Intra-Oral Scanner인 TRIOS는 최대 1000장의 3D사진으로 형상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거리나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스캔이 가능하며 어느 기공소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오토클레이브가 가능한 스캐너 팁에다 인체공학적인 손잡이 등의 장점이 있다. 설명 후 질의응답 시간에는 향후 추가되었으면 하는 기능에 대한 제언 등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번 설명회가 3차원 영상프로그램의 현주소와 앞으로의 연구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
2014.9.20
|
2014년도 부분교정 연수회 (7th day)
|
|
2014년도 부분교정 연수회에서는 “MTM for Revisit Case”에 대한 강의가 진행되었다.
|
2014.10.11~12
|
대한선수술교정학회 2014 연례학술대회 성황리에 개최
|
|
서울대치과병원에서 개최된 대한선수술교정학회 첫 연례학술대회가 선수술교정이라는 단일 분야를 다룸에도 불구하고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 예상보다 훨씬 많은, 특히 젊은 교정의와 구강외과의들이 대거 참석해 선수술교정에 관한 뜨거운 관심을 보여주었다.
첫날에는 20개의 임상강연, 30개의 포스터 발표 및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와 대한선수술교정학회 조인트 심포지엄(악성-선교 조인트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특히 본 교실의 ‘디지털 인상채득 기술 iTero을 이용한 브라켓 간접부착술’ 제목으로 한 포스터가 우수상에 입상하는 영예을 안았다. 수상된 포스터는 모두 참관자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으며 매우 독창적이며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악성-선교 조인트 심포지움에서는 백형선 교수(연세대)와 황순정 교수(서울대)가 좌장을 맡아 최정호 원장(웃는내일치과), 이상휘 교수(연세대), 배성민 원장(배성민치과), 오희균 교수(전남대) 등이 ‘안면비대칭의 최신치료’에 관해 강연을 펼쳐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둘째날에는 임상의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임상연수코스가 열렸는데, 이 코스에 선수술교정의 최고 권위자 6명이 대거 참여해 관심을 모았다. 스마일위드치과의 백원봉 원장님은 'Cephalo template을 이용한 선수술교정환자의 STO 작성'을 주제로 수술교정 paper surgery에 매우 유용한 CDS (craniofacial drawing standards) 방법을 소개하고, 환자의 트레이싱을 이에 중첩 분석하는 강연을 펼쳤다. 부산대 김성식 교수님은 ‘교정의와 외과의의 소통을 위한 새로운 접근, Mini STO’를 주제로 전치부 및 교합평면의 구성을 고려한 새로운 Mini STO를 소개했다. 스마일어게인치과의 오창옥 원장님은 ‘선수술환자의 수술교합 구성과 이를 이용한 wafer 제작’을 주제로 교합기와 치아배열을 통한 올바른 수술교합 형성을 설명했다. 이어 연세대 이기준교수님은 ‘선수술 교합 구성과 이를 고려한 술후관리 및 교정치료’를 주제로 선수술환자의 치료전 평가, 수술교합 구성, 술후 교정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했다. 경북대 박효상 교수님은 ‘선수술교정환자에서 micro-implant 의 효율적 적용’을 주제로 선수술 교정시 골편의 안정 및 치아이동에서 골격고정원의 역할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본 교실의 황현식 교수님은 ‘선수술교정환자에서 3차원영상의 효율적 적용’을 주제로 임상증례를 통해 선수술에서의 CG ceph의 적용 및 활용법을 소개함으로써 기존에 일부 증례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생각되어온 선수술이 악교정수술을 원하는 거의 모든 환자에서 가능함을 보여주어 참석한 교정의사 및 구강외과의사의 큰 관심을 끌었다.
선수술 및 수술교정의 임상 연구 및 술식 보급을 위해 치과대학 교정과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작년 12월에 창립된 대한선수술교정학회는 지난 4월 선수술교정 심포지엄, 그리고 6월의 선수술교정 특별강연회 등 굵직한 학술활동을 연이어 개최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여러 노하우들을 기반으로 하는 국제무대에서 선수술교정 학술활동을 펼쳐갈 계획이다.
|
2014.10.18
|
부분교정 연수회 성황리에 종료
|
|
본 교실과 한국성인치과교정연구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황현식 교수의 TTM 임상연수회 ADVANCED COURSE’가 10월 18일에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황현식 교수님을 연자로 모시고 3월부터 10월까지 셋째 주 토요일에 총 7+1days 집중코스로 진행되었던 이번 연수회는 부분교정에 필수적인 개념인 Molar uprighting, Passive bracketing, Passive wire bonding, Forced eruption, Mini-implant anchorage, Invisible TP, Lingual MTM 그리고 MTA 등에 대한 강연으로 구성되어 임상에서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부분교정 테크닉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참석하신 분들은 연수회를 통해 보철교정에 필요한 부분교정 술식 뿐만 아니라 다양한 술식을 습득하였다며 연수회에 대한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그동안 열심히 참여해 주신 여러 선생님들에게 감사드리며 이번 연수회를 통해 더욱 폭넓은 진료를 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해본다.
|
2014.10.30-11.1
|
제47회 대한치과교정학회 학술대회
|
|
서울 COEX에서 개최된 제47회 대한치과교정학회 학술대회에서 본 교실은 다음과 같이 7편의 임상 및 연구논문과 2편의 table clinic을 발표하였다.
▣ 포스터
임회정, 김현희, 김소영, 전세원, 황현식. 편측 저작 습관이 하악 골격 형태에 미치는 영향
이상미, 이정실, Hou Yanan, 이경민, 황현식. 알지네이트 인상을 이용한 디지털 치아모형 제작시 3차원영상 정확도에 관한 연구
박채희, 박하연, Zhang Fan, 임회정, 황현식.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evaluation of condyle displacement immediately after surgery in surgery-first orthodontic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이경민, 최학희, 김태우, 조진형, 황현식. 안면비대칭을 동반한 하악전돌 환자의 악교정수술시 FRI 변화
홍영민, 이정실, 김현희, 이경민, 황현식. 3차원 CBCT surface model에서의 아말감과 레진 수복물간의 artifact비교
오민희, 김석필, 박하연, 조진형, 황현식. 선수술환자에서의 디지털 마운팅과 CAD/CAM 기술을 이용한 수술교합 형성과 수술용 스플린트의 제작
전세원, 박원영, 권준호, 조문건, 임선영, 황현식. 중장년 성인교정 환자를 위한 효율적 교정치료 전략
▣ Table clinic
김태우, 강성자, Jiang Tingting, 조진형, 황현식. 선수술교정 환자에서 효율적 술후 교합 관리 프로토콜
강성자, 이경식, Sun Lijun, 이경민, 황현식. 새로운 교정장치 Align-N-Retainer
발표한 포스터 및 table clinic에 모두 참관자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으며 매우 독창적이며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
2014.11.8
|
문려진 선생 치과 개원 축하 방문
|
|
본 교실의 대학원에 재학 중인 문려진 선생이 광주 효천지구에 ‘스마일치과’를 개원하였다. 황현식, 조진형, 이경민 교수님과 전 의국원들이 치과에 방문하여 개원을 축하하였다. 문려진 선생은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졸업 후 퍼스트치과, 올바른 치과에 재직하였으며, 현재는 본 교실의 대학원 박사과정을 밟으며 학술적으로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앞으로 활발한 연구활동 및 임상진료를 통해 치과 및 본 교실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2014.11.10
|
교정학회 광주전남지부 제25회 정기총회 및 학술집담회
|
|
대한치과교정학회 광주전남지부 제25차 정기총회 및 학술집담회가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5층 평강홀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학술집담회에는 가톨릭대학교 치과병원 국윤아교수께서 연자로 초청되어 ‘Application of the Palatal Anchorage Plate : Cons, Pros, and Special considerations’을 주제로 강연을 하였다. 강연 후 진행된 정기총회에서는 광주전남지부의 2014년도 활동을 정리하고 2015년도 계획을 수립하는 시간을 가졌다.
|
2014.11.14
|
제45차 대학원 논문 연구계획 발표회
|
|
2014년도 2학기 대학원 논문 연구계획 발표회가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5층 평강홀에서 있었다. 황현식, 임회정, 이경민 교수님을 비롯하여 대학원생 및 의국원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본 발표회에서는 많은 질문과 조언이 이어져 논문연구 진행에 큰 도움을 주었다.
▣ 논문연구 결과 발표
박원영(박6)
자가치아이식 전 교정력 적용이 치주조직재생에 미치는 영향 평가
▣ 논문연구 중간 발표
홍영민(박8)
구강 스캐너로 얻은 치관 영상과 콘빔CT로 얻은 치근 영상을 이용한 합성치아 모델의 정확도
김태우(박6)
레이저 스캔 치관 영상과 콘빔 CT로 얻은 치근 영상을 이용한 합성 치아 모델의 정확도
이미순(박6)
자가치아이식술에서 치아에 가한 교정력이 술후 치주조직재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JiangTingting(박5)
Effect of orthognathic surgery on condylar head remodeling: evaluation with cone-beam computed tomography-generated cephalograms
강성자(박4)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획득한 치열영상의 정확도에 브라켓이 미치는 영향
▣ 논문연구 계획 발표
전세원(박4)
치조골 수준 평가시 치과용 광단층영상시스템의 진단 정확도 평가에 대한 연구
Sun Lijun(박3)
Appraisal of traditional proposed relationships between the hard and soft dimensions of the mouth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from live subjects
Zhang Fan(박3)
Alveolar bone alterations around incisor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with premolar extraction
문윤경(석4)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 채득시 전악스캔과 부분스캔의 정확도에 대한 비교 연구
|
2014.11.15
|
의국 야유회
|
|
가을이 익어가는 11월의 토요일, 황현식, 이경민 교수님과 박하연 선생, 외국인 대학원생은 보성의 보향다원으로 의국야유회를 다녀왔다. 세미나실에서 도시락으로 간단히 요기하고 한시간 반 가량을 달려 도착한 보향다원은 자연을 그대로의 평온한 모습에 마음이 차분해지는 기분이었다.
보성은 연중 안개가 많아 공중 습도가 높고, 일교차가 심하여 세계적인 명차의 산지들과 흡사한 천혜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차 재배의 최적지인 보성의 보향다원은 5대째 물려온 농장에서 한국 농식품부가 선정한 ‘신지식농업인’인 최영기, 최우정 부부가 자연에 가까운 친환경 영농으로 차를 재배하여 한국 최초 미국, 일본, 유럽의 ‘국제 유기 인증’을 획득한 곳이다. 자연에 가까운 유기농 찻잎을 재배하며 공기 맑은 곳에서 좋은 차와 항상 함께 생활해 그런지 보향다원의 대표 최영기, 최우정 부부는 자연 그대로를 얼굴에 담은 듯 평안하고 안온한 모습이었다.
보향다원 도착 후 다원 이곳저곳을 둘러본 후 약 2시간 반 가량 차만들기 체험을 하며 향긋한 차와 함께 힐링시간을 가졌다. 체험장에는 통나무를 잘라 만든 나지막한 찻상에 녹차통밀과자, 녹차설기 등 다과가 준비되어 있었다. 보향다원의 안주인인 최우정씨는 보성에 유기농 녹차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 등을 전하며, 진짜 금이 들어간 녹차인 황금명차와 보향명차도 얘기해주셨는데 한 가지만을 평생 고집해온 장인의 손길이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준비된 녹차는 녹차 특유의 약간 떫은맛이 있고 오랫동안 입안에 감돌며, 발효차는 특유의 맛과 향이 있었다. 체질에 따라 좀 더 자기 몸에 맞는 사람이 있는데, 녹차는 따뜻한 기운이 있는 사람에게, 발효차는 찬성분이 많은 사람이 마시면 더 좋다고 하였다. 함께 내주신 다과들과 함께 차를 마시며, 마시는 그 순간이 참 여유롭고 편안해지는 기분이었다. 차는 아무리 많이 마셔도 해가 되지 않고 마실수록 좋다고 하여 앞으로 커피를 줄이고 차를 먹는 습관을 길러야겠다고 생각하였다. 특히 발효차는 떫은맛이 적고 부드러워 자꾸 마시게 되었다.
차와 함께 힐링시간을 갖고 난 후 직접 수제차를 만들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100% 찻잎만을 익혀 찧고 치대서 떡처럼 반죽한 차 반죽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다식판에 눌러 넣어 모양을 만들고 구멍을 뚫어 끈을 연결 건조하면 떡차 일명 전차가 된다. 체험장 한쪽에 가득하게 걸린 것이 떡차였는데 1200년에서 1300년 전 고구려 고부에서 출토되기도 했다는 전차를 오랜 세월이 지나도 카테킨이라는 성분이 그대로 변함없이 보존되고 오히려 맛과 향기가 더 좋아진다고 하였다. 차잎이 오랜 시간이 지나도 영양성분이 전혀 손실되지 않는다고 하니 놀라움을 금치 못하였다.
체험을 마치고 전시된 예쁜 다기구들과 장식품, 차들을 구경하며, 그날의 즐거웠던 시간을 마음 속 깊이 간직하였다. 보성을 대표하는 연잎 전문점인 김미자연예찬에서 임금님 수라상보다도 거한 저녁식사를 한 후 광주로 돌아왔다. 비록 짧은 일정이었지만 의국원들과 대학원생들과의 화합과 친목을 도모하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
2014.12.12
|
김수정 교수님, 대학원 종강 특별강연
|
|
2학기 대학원 종강을 맞아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정학교실의 김수정 교수님을 연자로 초청하여 특별강연을 가졌다. 김수정 교수님은 이날 강연에서 “Orthodontic approaches for the treatment of OSA adults”라는 제목으로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교정적인 접근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본 강연을 통해 성인 OSA환자의 골격적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치료하기 위한 수술적 및 비수술적 접근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
2014.12.14
|
황현식 교수님, 연세대 미니튜브 심포지엄 강연
|
|
연세대학교 교정학교실 동문모임인 세정회에서 주관한 미니튜브 심포지엄에서 황현식 교수님이 “A New Orthodontic Appliance, Lingual MTA” 강연을 하였다. Closed meeting으로 개최된 이날 황교수님은 설측 교정장치로서가 아닌 일반 교정장치로 Lingual MTA를 소개하여 비상한 관심을 끌었는데, Indirect bonding with Wire 테크닉의 개발로 크라우딩이 심한 환자의 설측에도 어려움 없이 MTA를 적용할 수 있음을 전형적인 증례와 함께 강의하였다. 특히 이날 강연은 미국교정학회(AAO)에서의 MTA강연을 목전에 두고 펼쳐져 더욱 의의가 깊었다.
|
2014.12.25
|
황현식 교수님, ‘임상교정 생역학 및 심미전략’ 역자로 참여
|
|
본 교실의 황현식 교수님은 Ravindra Nanda가 저술한 ‘Esthetics and Biomechanics in Orthodontics (2nd Edition)’의 공동역자로 참여하여 “악교정 수술을 통한 새로운 치료 전략”, “여러 분야 전문의들의 긴밀한 협동을 통한 효율적 치료” 및 “최상의 치료 결과를 만드는 전략” 챕터를 번역하였다.
|


|